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물리학
- 그래프
- 광자학
- 리눅스
- Photolithography
- 메타표면
- 전자기학
- 과학
- 나노포토닉스
- impact factor
- 양자 플라즈몬
- octopus
- 초록빛논문
- Linux
- 3분논문
- 토막잭슨
- TDDFT
- 자연
- 논문
- 겨울떨개
- metasurface
- 메타물질
- 자연 나노기술
- Jackson Electrodynamics
- 우분투
- nature photonics
- 자연 광자학
- gnuplot
- 학술지
- 플라즈몬
- Today
- Total
목록물리·과학 이야기 (12)
과꾸로
2019년 4월 10일, Event Horizon Telescope 에서 인류 최초로 관측한 블랙홀 사진을 발표했습니다. 일단 사진부터 볼까요. 이게 인류 최초의 블랙홀 사진입니다. 어떤가요? 이 사진이 어떤 의미인지 알아보려면 약간 공부를 해야하는데요, 물론 논문을 직접 읽어보는 것이 가장 좋겠죠. 논문은 총 6편으로 The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 에 특별판으로 출판되었습니다. 논문링크: https://iopscience.iop.org/journal/2041-8205/page/Focus_on_EHT Focus on the First Event Horizon Telescope Results - The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 - IOPscienc..
궁금하지 않은가? 그네 타는 법은 다 알지. 너도 알고 나도 알고, 5살짜리 꼬마도 아니까. 근데... 대체 왜 올라가는 거지? 그러니까, 넌 어떻게 올라갔니? 1. 어떻게 움직이는지, 알고 있나? 혼자 곰곰이 생각을 해 봤는데, 이게 뭔가 생각보다 간단하지 않더라고요. 질량중심이 움직이는 것도 한 이유일텐데, 그것만 가지고는 뭔가 설명이 부족한 것 같았습니다. 그래서 찾아봤습니다. 그네타기의 원리. 물론 뒤에서 밀어주는 경우 말고요, 혼자서 무릎을 굽혔다 폈다 하면서 올라가는 경우입니다. How Do You Go Up in a Swing? 이라는 제목의 글을 찾았습니다. How Do You Go Up in a Swing? 링크: http://www.physicsinsights.org/up_in_a_sw..
늙는다는 건 뭘까요? 왜 죽는 걸까요? 사람은 당연히 늙는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죽겠죠. 그런데 늙는다는 건 뭘까요? 생각해보면 꼭 당연한 건 아닌 것 같습니다. 왜 늙는 걸까요? 그리고 왜 죽는 걸까요? 그래서 한 번 찾아봤습니다. 그랬더니 AsapSCIENCE 에서 좋은 영상으로 잘 설명 해두었더군요. 핵심은 chromosome에 telomere라는 여분의 꼬리가 있는데, 그게 세포분열을 할 때마다 조금씩 줄어들어서 결국에는 없어진다는 얘기입니다. 그게 다 없어지면 더 이상 세포분열을 하지 않는 거죠. 세포가 더 이상 분열하지 않으면 ... 네 죽는 거죠. 우리는 죽게 프로그램 되었다고 합니다. ㅎㅎ 염색체의 모양인데요, 텔로미어라는 여분의 꼬리가 달려있습니다. 사람에게는 46개의 염색체가 있죠...
[유튜브] Shape of You (Ed Sheeran) 그리고 The Molecular Shape of You (A Capella Science) 1. Shape of You Ed Sheeran의 Shape of You라는 노래는 꽤나 유명해서 아는 사람도 많겠죠. 저도 요즘 즐겨 듣는 노래입니다. 뮤직비디오와 가사영상의 두 가지 버전이 유튜브에 있는데요, 저는 가사영상을 더 선호합니다. 이렇게 생겼습니다. 노래도 참 좋아요. ^^ 시작할 때 나오는 기호는 나눗셈 기호인데, 꼭 "응" 처럼 보입니다. (Ed Sheeran의 한글사랑 (응?)) 2. The Molecular Shape of You 근데 이 노래를 패러디한 곡이 있습니다. A Capella Science라고 과학에 관련된 내용으로 노래를 ..
[동영상]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소화 분해 흡수 과정 갑자기 단백질이 어떻게 소화되고 분해되는지, 그리고 탄수화물이나 지방과는 어떻게 다른지 궁금해져서 찾아보게 되었다. 언젠가 막연히 배웠던 기억으로는 탄수화물과 지방은 탄소, 수소, 산소로만 구성되어 있지만 단백질에는 질소가 들어있어서 그걸 분해하기 위해 간이 작동하게 된다는 점. 그렇게 기억하고 지내왔고, 친구와 대화를 하던 중에, 그래서 사람이 닭가슴살만 먹으면 간이 고생한다는 말을 했는데, 말해놓고 나니 그게 사실인지 확인해보고 싶어졌다. 그래서 몇 가지 영상을 찾아보게 되었다. 그 영상들을 소개한다. 1. Protein Digestion and Absorption 단백질의 소화와 흡수를 다룬 영상이다. 이건 꽤 자세하게 나와있는데, 그래서 ..
[TDDFT] Time-Dependent Density Functional Theory Time-Dependent Density Functional Theory를 소개한 영상이 있어서 공유한다. 배경지식이 전혀 없으면 알기 어렵지만, 그래도 대략적으로 무슨 이야기를 하는지는 감을 잡을 수 있다. Time-independent 슈뢰딩거 방정식에 radiation term을 넣어서 시간의존형으로 만드는 것처럼 Density Functional Theory에도 같은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는 설명. 결론은, Density Functional Theory부터 제대로 알아봐야겠다. 위 영상은 University of Minnesota 강의를 녹화한 것이라고 한다. 해당강의에 사용된 슬라이드는 http://pollu..
중력파 관측!! Gravitational Waves!! 중력파를 처음으로 관측했다고 합니다. 과학사에 길이 남을 이런 역사적인 순간에, 글을 안 남길 수 없어서 하나 씁니다. 거대한 마이켈슨-몰리 간섭계를 만들어서 중력파를 측정했지요. 미국 LIGO 에서 25년 동안 열심히 관측해서 드디어 처음으로 중력파를 직접 관측했습니다. 아인슈타인이 일반 상대론으로 중력파의 존재를 예측한지 100년이 지난 시점에서 실험적으로 관측되었네요. 정작 아인슈타인 본인도 아마 관측은 힘들거라고 생각했다고 합니다. 길이 4 km의 거대한 간섭계를 두 곳에 만들어 신호를 비교했지요. 참 대단합니다. (그림출처: Physical Review Letters) 위 그림은 논문에 실린 그래프입니다. 왼쪽은 미국 워싱턴 주에서 오른쪽은..
(사진 출처: 유튜브 영상 Einstein 100 - Theory of General Relativity) 2015년 11월 25일은 아인슈타인이 일반 상대성이론을 발표한지 100주년이 되는 날이었습니다. 우리 인류의 중력에 대한 이해를 혁명적으로 바꿔놓은 이론이지요. 그걸 기념하며 일반 상대성이론을 재조명한 동영상이 몇 개 있어서 공유합니다. 1. Einstein 100 - Theory of General Relativity 이 영상은 정말 간결하게 잘 만들어졌는데, Science and Technology Facility Councils 라는 곳에서 만들었다고 합니다. 알기 쉽게 깔끔하게 잘 설명하고 있어 좋네요. 성우도 유명한 사람이라고 하는데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2. (가) Brian Gree..
결떨 운영자가 가장 존경하는 물리학자인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하이젠베르크 검색하면 나오는 가장 대표적인 사진. 결맞는 어울떨개의 운영자인 본 필자는 하이젠베르크를 너무너무 존경한다. 어릴 때 실수로 읽은 아인슈타인 위인전이 필자를 물리학의 세계로 이끌었다면, 물리학을 제대로 공부하게 되면서 대단한 경외심을 가지게 된 동시에 절대로 넘을 수 없는 벽처럼 느껴진 사람이 있다면 바로 하이젠베르크이다. 그래서 13년쯤 전에 독일에 여행을 갔을 때 뮌헨을 비롯 주요 대도시에 갈 때마다 여행안내소에 가서 직원들에게 하이젠베르크 박물관이 있냐고 물었었다. 그리고 "그런 거 없다"는 대답에 적잖이 실망했었다. 그런 거 없다보다도 사실 하이젠베르크가 누구냐라는 대답이 돌아왔던 것 같기도 하다. 얼마 전 같은 연구소의 독..
빛은 입자일까 파동일까? 물론 정답은 '빛은 입자성과 파동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으며 그것을 빛의 이중성이라고 한다'이다. 빛의 파동성을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영의 겹실틈 실험이었고, 빛의 입자성을 보여준 실험이 콤프턴 흩뜨림 실험이었다. 좋은 과학영상을 꾸준히 올리는 Veritasium 진리소라는 유튜브 채널이 있는데 그 채널에서 빛에 대해서 잘 다루었기에 공유한다. 두 개의 동영상으로 나누어 1번에서는 빛의 파동성을 2번에서는 빛의 입자성을 집중해서 다룬다. 1. 빛의 파동성: 영의 겹실틈 실험 2. 빛의 입자성: 단일 광자 간섭 진리소를 운영하는 Derek Muller 데렉 뮬러는 사람들을 인터뷰하고 직접 실험으로 보여주어서 물리가 좀 더 가깝게 다가오도록 하는 재능이 있는 것 같다. 3. 빛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