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gnuplot
- 리눅스
- 플라즈몬
- 양자 플라즈몬
- 초록빛논문
- 메타물질
- 겨울떨개
- 전자기학
- 나노포토닉스
- 토막잭슨
- nature photonics
- 물리학
- metasurface
- 메타표면
- 논문
- TDDFT
- Linux
- 3분논문
- 자연
- 자연 나노기술
- Photolithography
- 우분투
- impact factor
- 자연 광자학
- 학술지
- Jackson Electrodynamics
- 광자학
- octopus
- 과학
- 그래프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04)
과꾸로
[3분논문] 시즌2, 예고편 3분논문이 시즌2로 돌아왔습니다. 시즌 1은 팟캐스트 방송으로 진행했는데요, 시즌2는 동영상으로 제작하여 유튜브 채널을 통해 공개합니다. 시즌1과 마찬가지로 나노포토닉스, 메타물질, 양자 플라즈몬 등의 분야의 최신 논문을 짧은 시간 안에 정리해서 소개합니다. 저와 비슷한 분야를 연구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고요, 질문이나 의견이 있으면 댓글이나 트위터를 통해서 알려주세요. 자 그럼 오늘도 즐겁게 연구합시다! 안녕~ 질문은 댓글이나 트위터를 통해 해주세요.트위터: http://twitter.com/gguro블로그: http://yongsop.tistory.com @ 밖에서 녹음했는데, 배경에 새소리가 들리네요. ^^ #태그: 3분논문, 물리학, 과학, 자연, 광..
중력파 관측!! Gravitational Waves!! 중력파를 처음으로 관측했다고 합니다. 과학사에 길이 남을 이런 역사적인 순간에, 글을 안 남길 수 없어서 하나 씁니다. 거대한 마이켈슨-몰리 간섭계를 만들어서 중력파를 측정했지요. 미국 LIGO 에서 25년 동안 열심히 관측해서 드디어 처음으로 중력파를 직접 관측했습니다. 아인슈타인이 일반 상대론으로 중력파의 존재를 예측한지 100년이 지난 시점에서 실험적으로 관측되었네요. 정작 아인슈타인 본인도 아마 관측은 힘들거라고 생각했다고 합니다. 길이 4 km의 거대한 간섭계를 두 곳에 만들어 신호를 비교했지요. 참 대단합니다. (그림출처: Physical Review Letters) 위 그림은 논문에 실린 그래프입니다. 왼쪽은 미국 워싱턴 주에서 오른쪽은..
(사진 출처: 유튜브 영상 Einstein 100 - Theory of General Relativity) 2015년 11월 25일은 아인슈타인이 일반 상대성이론을 발표한지 100주년이 되는 날이었습니다. 우리 인류의 중력에 대한 이해를 혁명적으로 바꿔놓은 이론이지요. 그걸 기념하며 일반 상대성이론을 재조명한 동영상이 몇 개 있어서 공유합니다. 1. Einstein 100 - Theory of General Relativity 이 영상은 정말 간결하게 잘 만들어졌는데, Science and Technology Facility Councils 라는 곳에서 만들었다고 합니다. 알기 쉽게 깔끔하게 잘 설명하고 있어 좋네요. 성우도 유명한 사람이라고 하는데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2. (가) Brian Gree..
윈도우즈 7 환경에서 오라클 VirtualBox 가상상자를 깔고 거기에 우분투를 설치하였다. 그리고나면 윈도우와 우분투 양쪽에서 동시에 접근할 수 있는 공유폴더를 만들 필요가 있는데, 그걸 하는 방법을 잊어버리지 않으려고 적어둔다. - 버전 정보 VirtualBox 5.0 Ubuntu 15.10 (32 bit) 기본적인 방법은 1. Guest Additions 게스트 확장 설치 2. 공유 폴더 설정 의 두 단계이다. 우분투에서 제공하는 도움말을 따라서 설치하였다. 다 하고 나서 공유 폴더를 mount 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명령줄에 치면 된다. sudo mount -t vboxsf -o uid=$UID,gid=$(id -g) share ~/host 이 때 share는 내가 윈도우즈에서 만든 공유 폴더 ..
3차원 그림도구인 Blender 블렌더를 이용해서 논문용 그림을 그리고 있다. 사용자환경이 직관적이고 그리면서 눈으로 계속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좋다. 근데 또 막상 쓰다보면 마음대로 되지 않는 부분도 많은데, 그럴 때마다 인터넷에서 사용법을 찾아보게 된다. 그 중 몇 가지 잊어버리지 않으려고 써 둔다. 1. 회전하기 그림을 회전시키고 싶을 때가 있는데, 그 때 empty를 넣은 뒤 다 같이 엮어서 돌린다. 아래 동영상을 보면서 따라하면 쉽게 할 수 있다. 그렇게 해서 돌려본 그림 하나를 올려본다. 2. 배열 만들기 주기적인 구조를 만들고 싶을 때 필요한 기술. 사실 아직 어떻게 하는지 잘 모른다. 아래 두 글을 참고하면 할 수 있을 것 같기도 하다. 가. 블렌더 위키의 도움말: Array Modifi..
토막잭슨이라는 걸 시작했습니다. "토막잭슨"이란 물리학과 대학원 전자기학 교재로 널리 사용되는 잭슨 전자기학 책의 일부분을 떼어내서 짧게 설명하는 토막 강의 입니다. 교재: John David Jackson, "Classical Electrodynamics, 3rd ed." (1999) 가볍게 하는 강의이지만 보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한국의 물리학과 학생들이 잭슨 책을 좀 더 잘 이해한다면 좀 더 좋은 나라가 되지 않을까요? 질문은 트위터나 블로그로 보내주세요. 트위터: @gguro블로그: http://yongsop.tistory.com # [토막잭슨] 1장 8절 식 (1.36) 그린 정리를 푸아송 방정식에 적용 1장 기초 정전기학Ch. 1. Introduction to Electrostat..
결떨 운영자가 가장 존경하는 물리학자인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하이젠베르크 검색하면 나오는 가장 대표적인 사진. 결맞는 어울떨개의 운영자인 본 필자는 하이젠베르크를 너무너무 존경한다. 어릴 때 실수로 읽은 아인슈타인 위인전이 필자를 물리학의 세계로 이끌었다면, 물리학을 제대로 공부하게 되면서 대단한 경외심을 가지게 된 동시에 절대로 넘을 수 없는 벽처럼 느껴진 사람이 있다면 바로 하이젠베르크이다. 그래서 13년쯤 전에 독일에 여행을 갔을 때 뮌헨을 비롯 주요 대도시에 갈 때마다 여행안내소에 가서 직원들에게 하이젠베르크 박물관이 있냐고 물었었다. 그리고 "그런 거 없다"는 대답에 적잖이 실망했었다. 그런 거 없다보다도 사실 하이젠베르크가 누구냐라는 대답이 돌아왔던 것 같기도 하다. 얼마 전 같은 연구소의 독..
빛은 입자일까 파동일까? 물론 정답은 '빛은 입자성과 파동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으며 그것을 빛의 이중성이라고 한다'이다. 빛의 파동성을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영의 겹실틈 실험이었고, 빛의 입자성을 보여준 실험이 콤프턴 흩뜨림 실험이었다. 좋은 과학영상을 꾸준히 올리는 Veritasium 진리소라는 유튜브 채널이 있는데 그 채널에서 빛에 대해서 잘 다루었기에 공유한다. 두 개의 동영상으로 나누어 1번에서는 빛의 파동성을 2번에서는 빛의 입자성을 집중해서 다룬다. 1. 빛의 파동성: 영의 겹실틈 실험 2. 빛의 입자성: 단일 광자 간섭 진리소를 운영하는 Derek Muller 데렉 뮬러는 사람들을 인터뷰하고 직접 실험으로 보여주어서 물리가 좀 더 가깝게 다가오도록 하는 재능이 있는 것 같다. 3. 빛이란..
그 동안 '초록빛논문'이라는 제목으로 최근 연구의 초록을 한국어로 번역하여 올리는 일을 했습니다. 이제 앞으로 초록빛논문은 더 이상 하지 않을 계획입니다. 종료하는 가장 큰 이유는, 재미가 없다는 것입니다. 저도 제가 번역한 것을 다시 읽게되지 않고, 번역했다고 해서 딱히 논문이 더 잘 이해되는 것도 아니어서입니다. 좀 더 재미있는 방법을 찾아볼 계획입니다. 그 동안 읽어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2015년 10월 8일 과꾸로
가끔씩 하는 생각이다. 이제는 한국에 이런 대학교 하나쯤 나와주어야 하지 않을까. 이공계에 한정해서 하는 이야기이다. 우수한 학생이 모이는 최상위권 대학의 경우이다. - 영어 강의 원칙적 금지. 제한적 허용. - 모든 강의는 한국어로. - 강의 교재도 모두 한국어로. - 외국 유학생의 경우 한국어 시험을 고득점 받거나, 6개월의 어학연수 과정을 거친 뒤 학위과정 시작. - 한국어 교재개발하는 교수들에게 지원금을 주고 - 영어 교재를 잘 번역하는 교수들에게도 지원금을 주고 - 대학교 입시에 영어 성적을 전혀 반영하지 않고 - 대학교 졸업이나 대학원 입시에 영어성적을 요구하지 않으며 - 한국어로 과학논문 쓰기를 필수로 교육하며 - 외국인 교수들의 경우 처음 3년간 영어 강의를 허용하되, 이후에는 한국어로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