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물리학
- 메타물질
- 초록빛논문
- 토막잭슨
- Linux
- 3분논문
- 논문
- 플라즈몬
- 자연 나노기술
- 과학
- Photolithography
- 학술지
- 우분투
- 메타표면
- impact factor
- metasurface
- Jackson Electrodynamics
- octopus
- 리눅스
- 겨울떨개
- 나노포토닉스
- 자연 광자학
- 그래프
- 광자학
- 자연
- TDDFT
- 양자 플라즈몬
- nature photonics
- 전자기학
- gnuplot
- Today
- Total
과꾸로
[3분논문] 시즌2, 예고편 3분논문이 시즌2로 돌아왔습니다. 시즌 1은 팟캐스트 방송으로 진행했는데요, 시즌2는 동영상으로 제작하여 유튜브 채널을 통해 공개합니다. 시즌1과 마찬가지로 나노포토닉스, 메타물질, 양자 플라즈몬 등의 분야의 최신 논문을 짧은 시간 안에 정리해서 소개합니다. 저와 비슷한 분야를 연구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고요, 질문이나 의견이 있으면 댓글이나 트위터를 통해서 알려주세요. 자 그럼 오늘도 즐겁게 연구합시다! 안녕~ 질문은 댓글이나 트위터를 통해 해주세요.트위터: http://twitter.com/gguro블로그: http://yongsop.tistory.com @ 밖에서 녹음했는데, 배경에 새소리가 들리네요. ^^ #태그: 3분논문, 물리학, 과학, 자연, 광..
중력파 관측!! Gravitational Waves!! 중력파를 처음으로 관측했다고 합니다. 과학사에 길이 남을 이런 역사적인 순간에, 글을 안 남길 수 없어서 하나 씁니다. 거대한 마이켈슨-몰리 간섭계를 만들어서 중력파를 측정했지요. 미국 LIGO 에서 25년 동안 열심히 관측해서 드디어 처음으로 중력파를 직접 관측했습니다. 아인슈타인이 일반 상대론으로 중력파의 존재를 예측한지 100년이 지난 시점에서 실험적으로 관측되었네요. 정작 아인슈타인 본인도 아마 관측은 힘들거라고 생각했다고 합니다. 길이 4 km의 거대한 간섭계를 두 곳에 만들어 신호를 비교했지요. 참 대단합니다. (그림출처: Physical Review Letters) 위 그림은 논문에 실린 그래프입니다. 왼쪽은 미국 워싱턴 주에서 오른쪽은..
(사진 출처: 유튜브 영상 Einstein 100 - Theory of General Relativity) 2015년 11월 25일은 아인슈타인이 일반 상대성이론을 발표한지 100주년이 되는 날이었습니다. 우리 인류의 중력에 대한 이해를 혁명적으로 바꿔놓은 이론이지요. 그걸 기념하며 일반 상대성이론을 재조명한 동영상이 몇 개 있어서 공유합니다. 1. Einstein 100 - Theory of General Relativity 이 영상은 정말 간결하게 잘 만들어졌는데, Science and Technology Facility Councils 라는 곳에서 만들었다고 합니다. 알기 쉽게 깔끔하게 잘 설명하고 있어 좋네요. 성우도 유명한 사람이라고 하는데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2. (가) Brian Gree..
윈도우즈 7 환경에서 오라클 VirtualBox 가상상자를 깔고 거기에 우분투를 설치하였다. 그리고나면 윈도우와 우분투 양쪽에서 동시에 접근할 수 있는 공유폴더를 만들 필요가 있는데, 그걸 하는 방법을 잊어버리지 않으려고 적어둔다. - 버전 정보 VirtualBox 5.0 Ubuntu 15.10 (32 bit) 기본적인 방법은 1. Guest Additions 게스트 확장 설치 2. 공유 폴더 설정 의 두 단계이다. 우분투에서 제공하는 도움말을 따라서 설치하였다. 다 하고 나서 공유 폴더를 mount 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명령줄에 치면 된다. sudo mount -t vboxsf -o uid=$UID,gid=$(id -g) share ~/host 이 때 share는 내가 윈도우즈에서 만든 공유 폴더 ..
3차원 그림도구인 Blender 블렌더를 이용해서 논문용 그림을 그리고 있다. 사용자환경이 직관적이고 그리면서 눈으로 계속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좋다. 근데 또 막상 쓰다보면 마음대로 되지 않는 부분도 많은데, 그럴 때마다 인터넷에서 사용법을 찾아보게 된다. 그 중 몇 가지 잊어버리지 않으려고 써 둔다. 1. 회전하기 그림을 회전시키고 싶을 때가 있는데, 그 때 empty를 넣은 뒤 다 같이 엮어서 돌린다. 아래 동영상을 보면서 따라하면 쉽게 할 수 있다. 그렇게 해서 돌려본 그림 하나를 올려본다. 2. 배열 만들기 주기적인 구조를 만들고 싶을 때 필요한 기술. 사실 아직 어떻게 하는지 잘 모른다. 아래 두 글을 참고하면 할 수 있을 것 같기도 하다. 가. 블렌더 위키의 도움말: Array Modifi..
토막잭슨이라는 걸 시작했습니다. "토막잭슨"이란 물리학과 대학원 전자기학 교재로 널리 사용되는 잭슨 전자기학 책의 일부분을 떼어내서 짧게 설명하는 토막 강의 입니다. 교재: John David Jackson, "Classical Electrodynamics, 3rd ed." (1999) 가볍게 하는 강의이지만 보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한국의 물리학과 학생들이 잭슨 책을 좀 더 잘 이해한다면 좀 더 좋은 나라가 되지 않을까요? 질문은 트위터나 블로그로 보내주세요. 트위터: @gguro블로그: http://yongsop.tistory.com # [토막잭슨] 1장 8절 식 (1.36) 그린 정리를 푸아송 방정식에 적용 1장 기초 정전기학Ch. 1. Introduction to Electrostat..
결떨 운영자가 가장 존경하는 물리학자인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하이젠베르크 검색하면 나오는 가장 대표적인 사진. 결맞는 어울떨개의 운영자인 본 필자는 하이젠베르크를 너무너무 존경한다. 어릴 때 실수로 읽은 아인슈타인 위인전이 필자를 물리학의 세계로 이끌었다면, 물리학을 제대로 공부하게 되면서 대단한 경외심을 가지게 된 동시에 절대로 넘을 수 없는 벽처럼 느껴진 사람이 있다면 바로 하이젠베르크이다. 그래서 13년쯤 전에 독일에 여행을 갔을 때 뮌헨을 비롯 주요 대도시에 갈 때마다 여행안내소에 가서 직원들에게 하이젠베르크 박물관이 있냐고 물었었다. 그리고 "그런 거 없다"는 대답에 적잖이 실망했었다. 그런 거 없다보다도 사실 하이젠베르크가 누구냐라는 대답이 돌아왔던 것 같기도 하다. 얼마 전 같은 연구소의 독..
빛은 입자일까 파동일까? 물론 정답은 '빛은 입자성과 파동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으며 그것을 빛의 이중성이라고 한다'이다. 빛의 파동성을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영의 겹실틈 실험이었고, 빛의 입자성을 보여준 실험이 콤프턴 흩뜨림 실험이었다. 좋은 과학영상을 꾸준히 올리는 Veritasium 진리소라는 유튜브 채널이 있는데 그 채널에서 빛에 대해서 잘 다루었기에 공유한다. 두 개의 동영상으로 나누어 1번에서는 빛의 파동성을 2번에서는 빛의 입자성을 집중해서 다룬다. 1. 빛의 파동성: 영의 겹실틈 실험 2. 빛의 입자성: 단일 광자 간섭 진리소를 운영하는 Derek Muller 데렉 뮬러는 사람들을 인터뷰하고 직접 실험으로 보여주어서 물리가 좀 더 가깝게 다가오도록 하는 재능이 있는 것 같다. 3. 빛이란..
그 동안 '초록빛논문'이라는 제목으로 최근 연구의 초록을 한국어로 번역하여 올리는 일을 했습니다. 이제 앞으로 초록빛논문은 더 이상 하지 않을 계획입니다. 종료하는 가장 큰 이유는, 재미가 없다는 것입니다. 저도 제가 번역한 것을 다시 읽게되지 않고, 번역했다고 해서 딱히 논문이 더 잘 이해되는 것도 아니어서입니다. 좀 더 재미있는 방법을 찾아볼 계획입니다. 그 동안 읽어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2015년 10월 8일 과꾸로
가끔씩 하는 생각이다. 이제는 한국에 이런 대학교 하나쯤 나와주어야 하지 않을까. 이공계에 한정해서 하는 이야기이다. 우수한 학생이 모이는 최상위권 대학의 경우이다. - 영어 강의 원칙적 금지. 제한적 허용. - 모든 강의는 한국어로. - 강의 교재도 모두 한국어로. - 외국 유학생의 경우 한국어 시험을 고득점 받거나, 6개월의 어학연수 과정을 거친 뒤 학위과정 시작. - 한국어 교재개발하는 교수들에게 지원금을 주고 - 영어 교재를 잘 번역하는 교수들에게도 지원금을 주고 - 대학교 입시에 영어 성적을 전혀 반영하지 않고 - 대학교 졸업이나 대학원 입시에 영어성적을 요구하지 않으며 - 한국어로 과학논문 쓰기를 필수로 교육하며 - 외국인 교수들의 경우 처음 3년간 영어 강의를 허용하되, 이후에는 한국어로 강..
1. 논문 정보제목: 버금파장 공간해상도와 높은 투과율를 가지며 위상과 편광을 완벽하게 제어하는 유전체 메타표면 학술지: 자연 나노기술발행년월: 2015년 8월글쓴이: 아미르 아르바비, 유 호리에, 마무드 바게리, 안드레이 파라온이어가기: http://dx.doi.org/10.1038/nnano.2015.186인용정보: Arbabi, A., Horie, Y., Bagheri, M., & Faraon, A. (2015). Dielectric metasurfaces for complete control of phase and polarization with subwavelength spatial resolution and high transmission. Nature Nanotechnology. 2. 초록[..
(그림출처: http://blog.daum.net/senselet/19) "정말 변기 물이 반대방향으로 빠지니?" 호주에 오고 나서 지인들로부터 간혹 들었던 질문이다. 과연 그럴까? 그런데, 이 질문을 다시 한 번 생각해보자. 그럼 과연 북반구에 살면서는 물이 어느 방향으로 돌면서 빠지는지 실험해본 적이 있는가? 적어도 내 기억에, 나는 진지하게 실험해본 적은 없다. 말은 여러 번 들었지만 직접 해본 적은 없다. 한국 어떤 방송에서 적도에 걸친 나라인 에콰도르에 가서 실험하는 장면을 보여줬던 기억은 난다. 전향력이라고도 부르는 코리올리의 힘. 과연 그 힘에 의해 물이 빠지는 방향이 바뀔까. 1. 3달 쯤 전에 짹짹이에서 일련의 사건이 있었다. 필자의 트위터에 리트윗 된 글이 있었는데, 에콰도르 관광지에서..
토막잭슨이라는 걸 시작했습니다. "토막잭슨"이란 물리학과 대학원 전자기학 교재로 널리 사용되는 잭슨 전자기학 책의 일부분을 떼어내서 짧게 설명하는 토막 강의 입니다. 교재: John David Jackson, "Classical Electrodynamics, 3rd ed." (1999) 가볍게 하는 강의이지만 보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한국의 물리학과 학생들이 잭슨 책을 좀 더 잘 이해한다면 좀 더 좋은 나라가 되지 않을까요? 질문은 트위터나 블로그로 보내주세요. 트위터: @gguro블로그: http://yongsop.tistory.com # [토막잭슨] 1장 8절 식 (1.35) 그린 정리 1장 기초 정전기학Ch. 1. Introduction to Electrostatics 1장 8절 그린 ..
(출처: www.velib.paris) [질문] 자전거가 넘어지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물리학과 출신인 필자는 대학교 마지막 학년 때, 석사과정에 들어가기 위해 이 문제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있다. (석사 입시 면접의 단골 문제라고 했다.) 그 때 내 주변 친구들을 통해 흔히 듣던 답은 각운동량 보존법칙 때문이라는 것이다. 움직이는 자전거라면, 바퀴가 돌고 있으니 각운동량을 가질테고, 바퀴가 한 쪽으로 기울면 각운동량의 방향이 바뀌니 그것을 보존하는 방향으로 움직인다는 것이다. 그래서 제 자리로 돌아온다는 설명이다. 그리고 한 동안 이 문제에 대한 답을 알고 있었다고 생각하며 잊어버리고 살았는데, 얼마 전 Minute Physics에 올라온 동영상을 보게 되었다. 자전거가 넘어지지 않는 이유에 대한 ..
1. 논문 정보제목: 전압으로 조율하는 규소 나노선의 원형 광갈바니 효과 학술지: 과학발행년월: 2015년 8월글쓴이: 사잘 다라, 유진 J. 멜레, 리테시 아가르왈 이어가기: http://dx.doi.org/10.1126/science.aac6275인용정보: Dhara, S., Mele, E. J., & Agarwal, R. (2015). Voltage-tunable circular photogalvanic effect in silicon nanowires. Science, 349(6249), 726-729. 2. 초록[번역문]결정의 전자띠는 스핀-궤도 상호작용으로부터 자명하지 않은 위상적 감촉이 발생하게 하는데, 하지만 스핀 졸들음을 깨지 않은채 순전히 궤도적 메커니즘만으로도 매우 유사한 동역학을 구..
토막잭슨이라는 걸 시작했습니다. "토막잭슨"이란 물리학과 대학원 전자기학 교재로 널리 사용되는 잭슨 전자기학 책의 일부분을 떼어내서 짧게 설명하는 토막 강의 입니다. 교재: John David Jackson, "Classical Electrodynamics, 3rd ed." (1999) 가볍게 하는 강의이지만 보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한국의 물리학과 학생들이 잭슨 책을 좀 더 잘 이해한다면 좀 더 좋은 나라가 되지 않을까요? 질문은 트위터나 블로그로 보내주세요. 트위터: @gguro 블로그: http://yongsop.tistory.com # [토막잭슨] 1장 6절 식 (1.27) 쌍극자켜에 의한 전기깜냥의 불연속 1장 기초 정전기학 Ch. 1. Introduction to Electrost..
기본적인 물리용어 중에 속도와 속력이 있다. 중고등학생 때는 잘 몰랐지만, 지나면서 이 두 용어가 좀 이상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러면서 좀 불만이 생겼다. 다들 알다시피 속도는 벡터이고 속력은 스칼라이다. 속도는 빠르기와 방향을 포함하고, 속력은 방향을 포함하지 않는다. 한 때 "인생에서 중요한 것은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다"라는 어이없는 구절을 보고 옆 사람과 속도에는 방향도 이미 포함되어 있는데 우습다는 이야기를 했었다. (관련글) 찾아보니 이런 제목을 쓴 책도 있다. "삶은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다." 밑에 영어로도 써 있는데 거기에는 speed라고 제대로 써 있다. (사진출처: 인터넷교보문고) 그러고보면, 꽤 많은 사람들이 속도와 속력을 잘 구분하지 않고 사는 모양이다. 근데, 용어 자체에도 좀..
토막잭슨이라는 걸 시작했습니다. "토막잭슨"이란 물리학과 대학원 전자기학 교재로 널리 사용되는 잭슨 전자기학 책의 일부분을 떼어내서 짧게 설명하는 토막 강의 입니다. 교재: John David Jackson, "Classical Electrodynamics, 3rd ed." (1999) 가볍게 하는 강의이지만 보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한국의 물리학과 학생들이 잭슨 책을 좀 더 잘 이해한다면 좀 더 좋은 나라가 되지 않을까요? 질문은 트위터나 블로그로 보내주세요. 트위터: @gguro 블로그: http://yongsop.tistory.com # [토막잭슨] 소개 - 잭슨 전자기학 책 토막 강의 # [토막잭슨] 9장 2절 식 (9.23) 전자기파의 Radiation 복사 9장 복사계, 다극장과 ..
1. 논문 정보제목: 금속성의 단일벽 탄소 나노튜브에서의 루틴저 액체 플라즈몬의 관찰 학술지: 자연 광자학발행년월: 2015년 7월글쓴이: 즈원 스, 샤오핑 홍, 한스 A. 벳텔, 보 정, 마이클 C. 마틴, 켄지 와타나베, 타카시 타니구치, 위언론 선, 펑 왕이어가기: http://dx.doi.org/10.1038/nphoton.2015.123인용정보: Shi, Z., Hong, X., Bechtel, H. A., Zeng, B., Martin, M. C., Watanabe, K., ... & Wang, F. (2015). Observation of a Luttinger-liquid plasmon in metallic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Nature Photonic..
1. 논문 정보제목: 일차원 메타물질에서 체렌코프 표면 플라즈몬 항적의 조절된 조종 학술지: 자연 나노기술 발행년월: 2015년 7월 글쓴이: 패트리스 제너벳, 대니얼 윈츠, 안토니오 암브로시오, 앨런 셰, 로메인 블랜차드, 페데리코 카파소 이어가기: http://dx.doi.org/10.1038/nnano.2015.137 인용정보: Genevet, P., Wintz, D., Ambrosio, A., She, A., Blanchard, R., & Capasso, F. (2015). Controlled steering of Cherenkov surface plasmon wakes with a one-dimensional metamaterial. Nature Nanotechnology, advance onl..
얼마 전 2014년 학술지별 (Impact Factor) 영향력 지수가 발표되었다. 그래서 물리학, 광학, 광자학, 플라즈몬학, 나노과학, 재료공학 분야 학술지의 2014년도 영향력 지수를 총 정리해보았다. 일단 내 논문이 있는 학술지의 영향력 지수 모든 자료는 JCR에서 가져왔다. (http://jcr.incites.thomsonreuters.com) (Nature Communications) 자연소통이 꾸준히 오르는 건 좋다. (Applied Physics Express) 응용물리속달이 자꾸 떨어지네. 이젠 포기 상태. 두 편이 있는 (Journal of Optics) 광학학술지는 3년 째 야금야금 오르고 있다. 1저자로 제일 높은 (Physical Review B) 물리논평비도 3.7을 잘 유지했다..
1. 논문 정보제목: 밝은 가시광을 방출하는 그래핀학술지: 자연 나노기술발행년월: 2015년 6월글쓴이: 김영덕, 김학성, 조유진, 류지훈, 박철환, 김필광, 김용승, 이선우, 일레이 리,박승남, 유용심, 윤두희, 빈센트 E. 돌간, 에릭 팝, 토니 F. 하인즈, 제임스 혼, 전승현, 정현식, 이상욱, 배명호, 윤 다니엘 박이어가기: http://dx.doi.org/10.1038/nnano.2015.118인용정보: Kim, Y. D., Kim, H., Cho, Y., Ryoo, J. H., Park, C.-H., Kim, P., … Park, Y. D. (2015). Bright visible light emission from graphene. Nature Nanotechnology, advance o..
1. 논문 정보제목: 가시광 영역에서의 쌍곡메타표면 학술지: 자연 발행년월: 2015년 6월 글쓴이: 알렉산더 A. 하이, 로버트 C. 데블린, 마크 폴킹, 도미닉 S. 와일드, 야노스 페륵젤, 나탈리 P. 데 레온, 미카일 D. 루킨, 박홍근 이어가기: http://dx.doi.org/10.1038/nature14477 인용정보: High, A. A., Devlin, R. C., Dibos, A., Polking, M., Wild, D. S., Perczel, J., … Park, H. (2015). Visible-frequency hyperbolic metasurface. Nature, 522(7555), 192–196. 2. 초록 [번역문] 메타물질이란 버금파장크기의 금속과 유전체의 집짓기 블록을 ..
1. 논문 정보제목: 동역학적 상환에 기인한 비선형 광 고립기의 한계 학술지: 자연 광자학 발행년월: 2015년 5월 글쓴이: 위 스, 종푸 위, 샨후이 판 이어가기: http://dx.doi.org/10.1038/nphoton.2015.79 인용정보: Shi, Y., Yu, Z., & Fan, S. (2015). Limitations of nonlinear optical isolators due to dynamic reciprocity. Nature Photonics, 9(6), 388-392. 2. 초록 [번역문] 집적된 실리콘 광자학의 수요가 커짐에 따라, 칩 안에 넣을 수 있는 광 고립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에 따라, 최근 연구에서는 비선형 광 고립기에 대해 조사하여, 파동이 정방향과..
다음과 같은 자료가 있다고 생각해보자. 가 나 1 1.23 2.11 2 1.73 1.94 가장 왼쪽에 있는 (열)세로줄을 가로축으로 하고, 2번, 3번 세로줄의 값을 세로축으로 하면서 자료의 제목인 '가'와 '나'를 범례로 표기하고 싶을 때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 그래프를 그려주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있지만 그 중에서 gnuplot을 이용해서 어떻게 하는 지 알아보자. 요전에 광학, 나노과학 등의 분야 학술지의 영향력 지수를 그래프로 보인 글을 썼었다 (이어가기). 그 때 쓴 gnuplot 코드는 다음과 같다. #!/usr/bin/gnuplot # Journal impace factor # png reset set terminal pngcairo size 1000,1300 enhanced font 'Ver..
물리학, 광학, 광자학, 플라즈몬학, 나노과학, 재료공학 분야 학술지의 (Impact Factor) 영향력 지수를 총 정리해보았다. 일단 내 논문이 있는 학술지의 영향력 지수 모든 자료는 JCR에서 가져왔다. (http://jcr.incites.thomsonreuters.com) 다른 건 다 괜찮은데, (Applied Physics Express) 응용물리속달이 자꾸 떨어진다. 이게 일본에 기반을 둔 학술지인데, 일본 사정이 요즘 좀 안 좋은 것과 관련이 있는듯. 어떻게든 다른 데에 냈어야 했는데... 두 편이 있는 (Journal of Optics) 광학학술지는 계속 올라가니 그래도 다행이다. 2013년 기준 영향력 지수가 높은 순서대로 잘라서 그래프를 여러 개 그려보았다. 이 중 어떤 것에 내든 상관..
광학 학술지들의 2011~ 2013년 (Impact Factor) 영향력 지수를 그래프로 그려보았다. (자료 출처: http://jcr.incites.thomsonreuters.com) Opt. Express 가 꾸준히 3.5 이상을 유지하고 있고, J. Opt. Soc. Am. B는 영향력 지수가 낮아지고 있는 상태이며, J. Opt. 는 높아지고 있다. Opt. Express 와 Opt. Lett. 중에 고른다면 Opt. Express 가 더 좋은 선택으로 보인다.Opt. Express 나 Opt. Lett. 에 안 된다면 J. Opt. 가 가장 괜찮은 선택으로 보인다.
1. 논문 정보제목: 어울림 생성을 위한 비선형 위상의 연속적 제어학술지: 자연 재료발행년월: 2015년 4월글쓴이: 궤이신 리, 슈메이 첸, 니티팟 폴차이, 베른하르트 라이네케, 폴리스 윙 한 웡, 에드윈 위에 분 푼, 콕 와이 치, 토마스 젠트그라프, 슈앙 장이어가기:http://dx.doi.org/10.1038/nmat4267인용정보: Li, G., Chen, S., Pholchai, N., Reineke, B., Wong, P. W. H., Pun, E. Y. B., ... & Zhang, S. (2015). Continuous control of the nonlinearity phase for harmonic generations. Nature materials. 2. 초록[번역문]비선형광학에 ..
1. 논문 정보제목: 촘촘한 나노역학적 플라즈몬식 위상 변조기 학술지: 자연 광자학 발행년월: 2015년 3월 글쓴이: B. S. 데니스, M. I. 하프텔, D. A. 크자플류스키, D. 로페즈, G. 블룸버그, V. A. 악슉 이어가기:http://dx.doi.org/10.1038/NPHOTON.2015.40 인용정보: Dennis, B. S., Haftel, M. I., Czaplewski, D. A., Lopez, D., Blumberg, G., & Aksyuk, V. A. (2015). Compact nanomechanical plasmonic phase modulators. Nature Photonics, 9(4), 267-273. 2. 초록 [번역문] 플라즈몬식 소자에 광에너지를 잘 가둠으로..
1. 논문 정보제목: 분산형 위상보상을 통한 다파장 색지움 메타표면학술지: 과학발행년월: 2015년 3월글쓴이: 프란체스코 아이에타, 미카일 A. 카츠, 파트리스 제네벳, 페데리코 카파소이어가기: http://dx.doi.org/10.1126/science.aaa2494인용정보: Aieta, F., Kats, M. A., Genevet, P., & Capasso, F. (2015). Multiwavelength achromatic metasurfaces by dispersive phase compensation. Science, 347(6228), 1342-1345. 2. 초록[번역문]덩어리 굴절식 광요소를 에돌이식 평면 성분으로 교체함으로써 광체계의 소형화가 가능해졌다. 그러나 에돌이식 광학은 빛이 도..